• facebook twitter 프린트
      국제표준화기구 소개
      > 정책 > 국제표준협력활동 > 국제표준화기구 소개 > PASC
      PASC (Pacific Area Standards Congress, 태평양지역표준회의)
      설립배경
      1990년대 이후 지역경제의 블록화 현상이 전 세계로 확산됨에 따라 표준분야에서의 지역협력의 필요성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대표적으로는 유럽국가들의 EU 단일경제체제 구축과 관련한 지역표준화 활동의 활성화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지역표준화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한 태평양연안 국가들은 ISO 및 IEC의 국제표준화 활동을 강화하고, 국제표준화 활동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지역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이에 태평양 지역국가들 내의 표준화기구 대표들은 1972년 5월 미국 호놀루루에서 모임을 갖고 자발적으로 독립적인 표준화기구를 창설하기로 결의하였다. 동 회의에서 이 기구의 정식 명칭을 "태평양지역 표준회의"라 결정하고 1차 회의를 미국 호놀루루에서 '73년 2월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연혁
      1971년 프랑스의 Divonne와 스위스의 Geneva에서 ISO이사회 및 이사회 산하 각 위원회 회의 개최시 태평양지역 국가들간에 상호 관심사를 논의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들(당시에는 ISO 관련사항들이었음)을 논의할 기구의 설립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당시의 가장 긴급한 문제점은 ISO 이사회 활동이 다소 배타적으로 운영된다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이사회 회원국일지라도 이사회 산하의 이사위원회(Council Committee)회의에 임의로 참석할 수가 없었다. 또한 ISO의 활동은 주로 유럽지역 회원국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향이 많았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국표준협회(ANSI), 캐나다표준협회(CSA), 호주표준협회(SA) 및 일본공업표준조사회(JISC) 대표들이 1971년 스위스 제네바의 ISO총회 기간중 회동하여 지역표준기구의 결성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1972년 5월, 미국의 하와이 소재 호놀루루에서 미국(ANSI), 일본(JSA), 캐나다(CSA), 호주(SAA) 및 UL(UL은 국가대표기관은 아니나, ISO 인증제도위원회(CERTICO) 및 그 관련 활동들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인하여 참여)의 대표들이 새로운 단체설립을 위한 의사일정을 수립하고 그 목적과 취지에 대한 예비성명을 채택하였으며, 단체의 명칭을 "태평양지역표준회의(Pacific Area Standards Congress : PASC)로 할 것을 결의하였다.
      1973년 2월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호주·일본 등 8개국 대표가 미국의 하와이 호놀룰루에 모여 제1차 총회를 개최한 이후 제35차 총회에 이르기까지 국제표준화를 위한 ISO 및 IEC와의 협력업무, 회원국간의 협조 및 상호관심사에 관한 다수의 중요한 결의안을 채택하여 지역내의 국제표준화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연차별 회의개최 현황은 아래와 같다
      PASC 회의 개최 현황
      PASC 회의 개최 현황
      구분 일시 장소 주관 참가국 및 참가인원
      1차 '73.2 호놀루루 ANSI(민간) 8개국, 24명
      2차 '74.4 시 드 니 SAA(민간·정부보조) 9개국, 25명
      3차 '75.6 뱅 쿠 버 SCC(민간) 8개국, 21
      4차 '76.6 교 토 JSA(민간) 9개국, 45명
      5차 '78.1 호놀루루 ANSI(민간) 12개국, 29명
      6차 '79.6 마 닐 라 PSA(정부) 15개국, 34명
      7차 '80.5 홍 콩 HKSTC(민간·정부보조) 13개국,40명
      8차 '81.10 방 콕 TISI(정부) 13개국, 33명
      9차 '83.2 웰 링 턴 SANZ(민간·정부보조) 14개국, 34명
      10차 '84.6 샌프란시스코 ANSI(민간) 11개국, 38명
      11차 '86.6 서 울 IAA(정부) 14개국, 44명
      12차 '88.4 뱅 쿠 버 SCC(민간) 14개국, 45명
      13차 '89.9 시드니 SAA(민간·정부보조) 13개국, 38명
      14차 '91.4 북 경 CSBTS(정부) 13개국, 33명
      15차 '92.4 일 본 JSA(민간) 15개국, 40명
      16차 '93.5 쿠알라룸푸르 SIRIM(정부)
      17차 '94.4 방 콕 TISI(정부) 18개국, 78명
      18차 '95.5 크루거 SABS(자치) 15개국, 40명
      19차 '96.4 골드코스트 SAI(민간) 17개국, 70명
      20차 '97.4 호놀루루 ANSI(민간) 17개국, 78명
      21차 '98.4 싱가폴 PSB(정부) 20개국, 101명
      22차 '99.4 칼타헤나 ICONTEC(비영리기관) 14개국, 53명
      23차 '00.3 퀸즈타운 SNZ(민간) 19개국, 68명
      24차 '01.4 서울 KATS(정부) 20개국, 80명
      25차 '02 피지 TSAC(정부) 18개국, 64명
      26차 '03 하노이 TCVN(정부) 18개국, 68명
      27차 '04 밴쿠버 SCC(민간) 18개국, 68명
      28차 '05 나고야 JISC(정부) 21개국, 70명
      29차 '06 케이프타운 SABS(자치) 29개국, 80명
      30차 '07 까르따헤나 ICONTEC(비영리기관) 18개국, 80명
      31차 '08 상하이 SAC(정부) 24개국, 95명
      32차 '09 호바트 SA(민간) 19개국, 90명
      33차 '10 td>울란바토르 MASM(정부) 19개국, 60명
      34차 '11 방콕 TISI(정부) 22개국, 75명
      35차 '12 여수 KATS(정부) 17개국, 80명
      36차 '13 하와이 ANSI(민간) 23개국, 100명
      37차 '14 쿠알라룸프르 DSM(정부) 19개국, 90명
      38차 '15 뉴델리 BSN(정부) 19개국, 100명
      39차 '16 발리 BIS(정부) 20개국, 100명
      40차 '17 밴쿠버 SCC(민간) 16개국, 100여명
      설립목적
      태평양지역 국가간 공동관심사인 공업발전을 위한 이해조정 및 표준화 관련 국제무대에서의 상호 결속을 위해 창설된 태평양지역표준회의(PASC)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 회원국 상호간에 표준화 관련 의견 및 정보를 교환하고, 국제무역 및 통상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 활동을 적절히 조정함
      . 지역적으로 편리한 곳에서 태평양지역 국가들이 ISO나 IEC등의 국제표준화 기구들에 전달할 건의문을 토론·작성함
      . PASC 회원국의 건의문을 전달함으로써 국제표준화기구들에 대한 자문, 협력을 제공함 향후 국제표준화에 필요한 사항과 표준화 구조상 개선할 점을 토론함
      PASC 회원국
      17.9월말 현재 PASC의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피지,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네시아, 홍콩, 파푸아뉴기니, 콜롬비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몽골리아, 브루나이, 인도, 페루, 멕시코, 에콰도르 총24개국
      우리나라의 참여
      우리나라는 PASC창립총회부터 회원으로 가입하였으며, 또한 PASC Executive Committee(운영위원회) 위원으로서 적극적인 참여활동을 수행하여 왔다.또한 1986년 6월에 서울에서 제11차 총회를 개최한데 이어 2001년 4월에도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제24차 총회를 개최하여 PASC내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제고해 나가고 있다. 특히 2001년부터는 국가기술표준원 국제표준과장이 PASC 운영위원회의 간사(secretary)로 활동을 시작함에 따라 PASC에서의 우리나라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2012년에는 여수 EXPO 주제와 연계한 "지속 가능한 환경 표준의 이행"이라는 주제로 국제적으로 관심이 증대되는 에너지 효율 및 신재생에너지, 민간과 자연보호 등의 국제표준화 공조방안을 마련하였다.
      우리나라의 PASC 참여 활동의 주요목적은 첫째로, 산업표준화 관련 상호 정보교환 및 협조로 우리나라의 표준화발전을 도모하고, 둘째로, 우리나라의 발전상황 및 국산제품의 우수성 홍보로 수출증대를 도모하며, 셋째로, 국제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지위향상을 위한 지역적 지지기반 강화하는데 있다.
      향후전망
      아시아태평양지역 국가들의 국제표준화 활동에 관련한 협력증진을 주목적으로 하여 설립된 PASC는 세계의 정치·경제·사회 전반이 블록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어 여타 지역과 대응하게 이시아·태평양지역의 이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국제표준화 활동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아시아·태평양지역은 21세기에 가장 활발한 경제활동이 이루어질 지역이라는 전망이 최근 계속 나오고 있고 역내 교역량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세계 다른 지역으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는 국제표준화 활동이 유럽지역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지만 21세기에는 PASC의 활발한 활동에 힘입어 아시아·태평양지역이 국제표준화 활동의 중심지역으로 부상되리라는 전망도 가능하다.
      특히 서울에서 개최되었던 제24차 총회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아태지역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목표를 선정하자"는 결의사항을 채택하고, 이를 위한 세부 추진전략 마련을 위하여 ISO총회와 병행한 임시 회의를 소집하는 등 본격적인 지역협력활동을 추진하게 되었는 바, PASC가 국제표준화 활동에서 아태지역의 의견을 반영하는 실질적 창구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리라 예상된다.
      담당자
      담당부서 국제표준협력과 담당자 서상헌 연락처 043-870-5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