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cebook twitter 프린트
      포토갤러리
      > 소식 > 기술표준갤러리 > 포토갤러리
      포토갤러리
      제목 2019 글로벌 제품안전 혁신포럼 등록일 2019-12-02
      요약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11월 28일(목) 쉐라톤 서울 팔래스 호텔에서 성균관대 최갑홍교수, OECD 제품안전반 네빌 매튜(Neville Matthew) 의장, 영국 제품안전표준청 토마스 벨(Thomas Bell) 과장, 유럽연합의 오솔야 크소바(Orsolya Csorba) 차장 등 외국 규제전문가 및 기업 관계자, 시험인증기관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 제품안전’을 주제로 OECD·EU·英·日 대표단을 초청해「2019 글로벌 제품안전 혁신포럼」을 개최하였다.(축사하는 박정욱 제품안전정책국장)
      2019 글로벌 제품안전 혁신포럼

      2019 글로벌 제품안전 혁신포럼

      2019 글로벌 제품안전 혁신포럼

      2019 글로벌 제품안전 혁신포럼

      2019 글로벌 제품안전 혁신포럼

      2019 글로벌 제품안전 혁신포럼

      내용 □ ‘4차 산업혁명과 제품안전’을 주제로 최갑홍 성균관대 교수가 기조연설을 했으며, 우리나라와 OECD, EU, 영국, 일본 대표단이 제품안전 정책과 위해도 평가 등에 대한 주제발표와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① OECD 제품안전반 네빌 매튜(Neville Matthew) 의장은 제품안전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에 대한 OECD의 연구를 소개하였다.
      - 매튜 의장은 “사물인터넷은 조기 위험 경고가 가능하고 문제발생 시 원격 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인공지능은 위험을 분석해 위험도를 줄이고 시장감시 강화에도 큰 도움을 준다”고 강조했다.

      ② 영국 제품안전표준청 토마스 벨(Thomas Bell) 과장은 영국의 제품혁신과 안전을 위한 연구 및 정책 방향을 발표하면서,
      - 인공지능(AI) 기술은 제품사진, 설명문구 등으로 부적합 제품을 선별하거나 판매차단하는 등 제품안전에 기여하는 잠재적 가치가 크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③ 유럽연합의 오솔야 크소바(Orsolya Csorba) 차장과 일본의 히로시 타시로(Hiroshi Tashiro) 파견관은 유럽과 일본의 사고 발생빈도와 소비자 피해정도를 기반으로한 위해도 평가방법과 리콜을 결정하는 사례에 대해 발표하였으며,
      - 우리나라의 제품안전관리원은 발열조끼, 즉석발열식품용 발열팩 등에 대해 그간의 위해도 평가연구 내용을 공유하였다.

      □ 이날 포럼에 앞서 국가기술표준원은 유럽(EU), 영국, 호주, 일본 등과 양자 실무회의를 개최해 국가 간 안전관리 정책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ㅇ 각 국의 위해도 평가결과, 리콜정보 등을 공유하는 한편, 4차 산업혁명의 흐름 속에서 융·복합, 신기술·신물질 등이 적용된 제품으로부터 제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에도 상호 협력하기로 하였다.

      □ 박정욱 제품안전정책국장은 축사를 통해 “신기술, 신제품 등이 홍수처럼 쏟아져 나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존의 안전관리 틀에만 안주해서는 제품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고 강조하고,

      ㅇ “제품안전은 글로벌 공통 이슈가된 만큼, 각국의 안전관리 정책 경험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위해상품 차단 등 제품안전 강화를 위한 국제적 공조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