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cebook twitter 프린트
      포토갤러리
      > 소식 > 기술표준갤러리 > 포토갤러리
      포토갤러리
      제목 한-미 표준 포럼 등록일 2021-12-02
      요약 한-미 표준 포럼
      이상훈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장은 2021. 12. 2(목) 09:10 서울 반포동 JW메리어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조 바티아(Joe Bhatia) 미국 표준원 회장, 제임스 김(James Kim)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임승옥 전자기술연구원 본부장,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전무, 최영석 차지인 대표, 염흥열 순천향대 교수를 비롯한 한-미 양국 표준관련 전문가와 관계자 등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한 가운데 ‘한-미 양국간 국제표준화 정책을 교류하고 표준협력 과제 발굴·수행’을 위해 열린 「한-미 표준 포럼」에 참석하여, 한-미 표준협력대화 출범을 위한 양해각서 이행계획을 체결한 후 개회사를 통해 “한-미 양국이 양자기술·자율차·인공지능·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 중심의 표준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하게 되었고 미국과의 표준협력을 디지털 기술 표준화 뿐만 아니라 앞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표준화로 확대하는 미국과의 표준화 상호공조 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힌 후 양자기술 표준화 전략, AI 윤리 표준화와 규제, 자율차 사이버 보안 인증 표준화 추진전략 등을 논의하였다.
      한-미 표준 포럼

      한-미 표준 포럼

      내용 □ 우리나라가 양자기술·자율차·인공지능·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기술·표준 강국 미국과 표준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ㅇ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은 2일 JW 메리어트 서울 호텔에서 미국표준원(ANSI)*과 「한-미 표준협력대화(Standards Dialogue, S-Dialogue)」 출범을 위한 양해각서(MoU) 이행계획을 체결하였으며, 

         * 미국표준원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 국제표준화기구 (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 대한 미국의 국가대표 표준화기관

       ㅇ 제1차 ‘한-미 표준협력대화‘와 ’한-미 표준 포럼‘을 개최하고 양자기술·자율차·인공지능·반도체 분야에서 표준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 한-미 양국의 국가 표준화기관인 국가기술표준원과 미국표준원(ANSI)은, 그간 지속·유지해온 표준협력 관계를 첨단기술 분야 전략적 표준협력 파트너십으로 발전시키기로 합의하면서,

       ㅇ 양국의 표준 정례 협의체인 「한-미 표준협력대화」 출범을 위한 양해각서(MoU) 이행계획을 체결하고,

       ㅇ ‘한-미 표준협력대화’를 개최하여 표준화 정책 및 전략 교류, 표준화 공동 작업그룹 구성, 표준화 작업 상호 공조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 표준협력대화에 이어 양자기술·자율차·인공지능·반도체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한-미 표준 포럼’을 개최하고, 심야 세션에서 전문가 패널 토의를 진행하였다.

       ㅇ 포럼의 첫 기조강연은 미국표준원(ANSI) 메리 손더스(Mary Saunders) 부회장이 맡아 미국의 표준화 전략을 소개하고, 표준화를 통한 기술혁신과 경쟁력 지원 방안, 한-미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ㅇ 한국 측에서는 순천향대학교 염흥열 교수가 ‘자율차 사이버보안 인증 표준화 추진전략’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맡아 국가표준 개발 전략과 한-미 협력방안 등에 소개하고 사이버보안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ㅇ 기조강연에 이어 진행된 기술발표에서는 양국 전문가들이 양자기술 표준화 전략, 인공지능 윤리 표준화, 반도체 분야 기술·표준 협력 등에 대해 발표하고, 양국의 기술 개발현황과 표준화 추진상황을 공유했다.

      □ 미국표준원(ANSI) 조바티아(Joe Bhatia) 회장은 “표준협력대화가 출범하게 된 것은 양국간 기술·통상 협력에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하면서, 지속적인 한-미 표준협력을 통해 양국 산업계의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는 계기를 만들어 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장은 “한-미 양국이 양자기술·자율차·인공지능·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 중심의 표준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하게 되었다”고 평가하고,

       ㅇ “미국과의 표준협력을 디지털 기술 표준화 뿐만 아니라, 앞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표준화로 확대하는 등 미국과의 표준화 상호공조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목록